시민교육콘텐츠연구소

사무실 번호 : 070-4898-2779 / 대표메일 : streamwk@gmail.com

송문식전문위원 5

[강정모 소장] 수원시 시민참여 플랫폼 '새빛톡톡' 활용 워크숍

23년 10월 12일 수원시청 별관 중회의실에서 수원시에서 개발한 시민참여 플랫폼 ‘새빛톡톡’ 활용방법 워크숍을 실시하였습니다.  강정모 소장과 송문식 강사는 수원시민들에게 민관협치 의제 특징과 사례를 중심으로 이해하고, 수원시정 관련된 의제를 도출하여, 온라인 모바일 플랫폼인 '새빛톡톡'을 활용하여 내용을 기재하는 실습을 진행하였습니다.    민원성 의제와 참여형 의제를 구분하고, 사업의제 내용기술을 위한 논리적 구조를 이해하였습니다. 사업명, 사업목적, 사업목표와 같은 항목을 명료하게 구분하였습니다. 수원시에서 양성한 시민 퍼실리테이터분들과 함께 도출 의제를 설득력 있고, 가독성 높게 기재하는 연습을 하였습니다.   민관협력이 제도와 기술 양측면에서 안착되어 실질적 풀뿌리민주주의가 자리잡기 위해 개발..

교육활동 2024.12.08

[송문식 전문위원] 남양주시 주민자치대학 <주민자치의 가치이해> 강의

2024년 남양주시 주민자치대학이 한국공교육원과의 협력으로 9월 30일부터 6차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그 중 1강을 맡아 진행하였습니다. 라는 주제를 가지고 "주민자치 활동 필요성, 주민자치의 가치와 특징, 의제발굴과 사례공유, 더 나은 주민자치 상상하기"라는 소주제를 이야기하는 시간이었습니다. 행복한 남양주시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요소인 사회적 자본을 만들기 위한 주민자치 활동에 대해 시민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상상 더 이상 남양주”라는 시의 슬로건에 맞게 주민참여를 통한 시민시장 시대를 열어 갈 수 있는 출발로 주민자치 활동이 매우 중요하다는 이야기들을 나눴고 주민자치 대학에 참여한 시민들의 열기도 대단함을 느꼈습니다. 이번 교육 과정의 설계를 강정모 소장님이 기획하였고 주민..

교육활동 2024.11.13

[송문식 전문위원] 양양군자원봉사대학 <함께 만드는 가치, 자원봉사>

2024년 제21기 양양군자원봉사센터가 주관하는 제21기 양양군자원봉사대학이 7월 17일(수) ~ 8월 1일(목) 매주 수, 목요일 총 6회로 진행되었습니다.    시민교육콘텐츠연구소에서는 김은영 전문위원이 을 진선임 전문위원이 을 강정모 소장이 를 저는 7/24일(수) 라는 주제를 가지고 팀 다이나믹스, 시민참여와 자원봉사의 의제 이해, 의제발굴 등을 진행하였습니다.    “행복해도, 어려워도 사람은 문화체육이 필요하다.”라는 주제를 가지고 40명의 양양군 문화체육인과 일반 주민이 참여하였습니다. 이번 교육 과정의 설계를 강정모 소장님이 기획하였고 연구소 전문위원들이 팀워크를 발휘하여 자원봉사 이해와, 의제발굴, 사업계획서 작성, 팀 워크 강화라는 일련의 과정이 체계적으로 운영하였습니다.    이번 2..

교육활동 2024.08.09

[송문식 전문위원] 충북 진천군 백곡면 주민자치회 위원 워크숍

24년 4월 18일에 이란 주제로 충북 진천군 백곡면 주민자치회 위원 대상 워크숍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번에 진천군은 사전 과제를 통해 어떤 의제를 발굴해야 할지 과정을 거쳤고, 이번 워크숍에서는 '우리 마을 상상하기, 한줄 의제 작성하기' 등을 통해 어떤 의제가 주민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의제들인지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타 지역의 사례를 공유하면서 백곡면 특성에 맞는 의제가 무엇인지 토의하였고, 지역자원을 연계하여 백곡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이번 워크숍을 통해 마을의제란 무엇이고, 참여형 의제가 무엇인지, 주민자치 위원으로 어떤 상상력을 가지고 자치활동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다시 한번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고 발표의 시간을 통해 위원들이 생각하는 마을의제를..

교육활동 2024.05.26

[송문식 전문위원] 상주시 이/통장 능력개발 교육

지난 11월 28일부터 30일까지 3일간 을 진행 하였습니다. 상주시는 24개 읍면동, 514개 통리, 2,200개의 반으로 구성되어 있는 도시로 이번에 6개 권역으로 나누어 교육을 진행했습니다. 활동의 출발, 우정과 환대에 대한 생각하기 사회적 자본의 이해와 사회적 자본의 촉진자로서의 이통장의 역할 이통장 활동의 가치 토대 : 시민성, 공익성, 책임성 21세기 이통장의 리더십과 역할 타 지역 활동 사례 둘러보기 민관협력의 현장 이통장의 소통역량 더 나은 활동 상상하기 권역별로 지역 현안이 다르다 보니 다양한 욕구들이 있기는 했지만 공동체 활동의 시작인 이통장의 역할들을 잘 이해하고 계시고 이번 교육을 통해 일상활동에 대한 자기 돌아봄과 새로운 역할의 고민,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민관협력의 출발점이 이통..

교육활동 2023.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