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교육콘텐츠연구소

사무실 번호 : 070-4898-2779 / 대표메일 : streamwk@gmail.com

대전시 4

[강정모 소장] 대전시사회서비스원 마을복지활동가 주민조직화 역량강화 과정

22년 10월 31일, 대전시사회서비스원에서 마을복지활동가들을 대상으로 마을복지, 주민조직화를 위한 사회복지사들의 리더십과 조직력 역량강화 과정을 실시하였습니다. 사회서비스원은 기존의 사회복지뿐만 아니라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기관들을 통합관리 운영하기 위해 설치된 기관입니다. 넓은 의미에서 복지영역 종사자들을 위한 기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는 특정한 사회복지계의 이슈가 아닙니다. 사회복지는 국가의 방향입니다. 특히 지역, 민주주의, 주민참여 없는 사회복지는 허구입니다.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은 전달체계에서 조직역량으로 이동 중입니다. 전달체계는 점점 시스템화되어 가고 있으며, 일반행정으로 이관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는 주민들과 관계맺고, 문제를 발굴하고, 그것을 주민과 당사자들과 논의하여, ..

교육활동 2023.08.30

[강정모 소장] 대전시 민주시민교육 활동가 역량강화

22년 5월 대전시민주시민교육네트워크의 초대로 대전NGO지원센터에서 대전시 민주주의 정책 관련 중간지원조직 종사자 및 활동가들을 대상으로 민주주의 개론에 대해 함께 나눠보았습니다. 다양한 시민사회단체의 내부의 민주적 문화 확산과 더불어 민주적 의사결정을 중심으로 많은 갈등이 있습니다. 또한 민주적 문화는 조직의 건강성과 지속가능성을 유지하는 유일한 척도이기도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세대간 시각차이와 많은 갈등이 수반되기도 합니다. 민주주의를 표현하는 언어를 함께 고찰하고, 습득하며, 다양한 시각을 도출하고, 나누는 연습과 아울러 민주주의가 국가와 사회차원뿐만 아니라 우리의 일상과 사회활동 내에서도 적용되어야 하며,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대전시와 자치구는 민주시민교육 조례제정을 ..

교육활동 2022.11.15

[강정모 소장] 대전시 민주시민교육 활동가 역량강화(민주주의 개론)

22년 5월 대전시민주시민교육네트워크의 초대로 대전NGO지원센터에서 대전시 민주주의 정책 관련 중간지원조직 종사자 및 활동가들을 대상으로 민주주의 개론에 대해 함께 나눠보았습니다. 다양한 시민사회단체의 내부의 민주적 문화 확산과 더불어 민주적 의사결정을 중심으로 많은 갈등이 있습니다. 또한 민주적 문화는 조직의 건강성과 지속가능성을 유지하는 유일한 척도이기도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세대간 시각 차이와 많은 갈등이 수반되기도 합니다. 민주주의를 표현하는 언어를 함께 고찰하고, 습득하며, 다양한 시각을 도출하고, 나누는 연습과 아울러 민주주의가 국가와 사회 차원뿐만 아니라 우리의 일상과 사회활동 내에서도 적용되어야 하며,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대전시와 자치구는 민주시민교육 조례제정..

교육활동 2022.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