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교육콘텐츠연구소

사무실 번호 : 070-4898-2779 / 대표메일 : streamwk@gmail.com

용산구마을자치센터 5

[강정모 소장] 2021 용산구주민자치사업단 교육과정개발을 위한 연구용역 보고서

2021 2월부터 4월까지 용산구마을자치센터의 의뢰로 본 연구소는 주민자치사업단에서 진행할 서울형 주민자치회 이해관계자들을 위한 교육과정개발을 실시하였습니다. 서울형 주민자치회는 동(洞)단위 민관협치로서 풀뿌리 민주주의 제도적 확산의 기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용산구는 2년여간의 5개 시범동의 성과를 바탕으로 2021년부터는 16개동 전동(全洞)에 주민자치회 건설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용산구뿐만 아니라 서울의 타 자치구와 전국의 지자체도 주민자치회로의 전환을 전국적으로 실행하고 있는 중입니다. 기초 지자체로의 분권에서 직접 민주주의를 구현할 실질적 예산과 실행에 대한 민간에게의 분권(分權)의 흐름은 속도의차이가 있을뿐, 이러한 대세는 역진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민주주의 확산이라는 가슴뛰..

교육활동 2021.06.02

[강정모 소장] 용산구 주민자치 입문 16개동 순회교육(4-5월)

용산구 주민자치 입문 16개 동 순회교육(4-5월) 용산구마을자치센터와 시민교육콘텐츠연구소는 용산구의 주민자치회 전동(全洞) 실시를 앞두고 16개 전동의 주민과 기존의 주민자치위원회분들에게 4~5월 중 주민자치회 입문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올해 조직된 시민교육콘텐츠연구소 전문위원들이 역할을 나누어 실행 중입니다. 서울형 주민자치회의 의미와 구조, 기본내용을 기준으로 각 강사들의 강점과 마을의 특징을 살려 다채로운 입문교육이 실행중입니다. 주민자치 입문 교육을 바탕으로 전동으로 건설될 주민자치회가 실제적 풀뿌리 민주주의의 제도적 안착의 파장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교육활동 2021.05.17

용산구마을자치센터 주민자치교육과정 개발연구를 위한 워크숍

용산구마을자치센터와 시민교육콘텐츠연구소는 주민자치사업단의 이해관계자들을 위한 교육과정개발을 위한 연구용역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주민자치사업단 직원, 동자치지원관, 동 주민자치회 위원, 임원, 간사, 감사 그리고 주민자치 활성화를 위한 용산구 주민들과 마을활동가들을 위한 용산형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착수에 들어갔습니다. 21년 용산구는 전 동(洞)으로 주민자치회 건설에 들어갑니다. 이번에 개발된 교육커리큘럼과 교육계획안을 바탕으로 전 동에 실시될 주민자치회의 초석을 다지기로 하였습니다. 이번 이해관계자 워크숍으로 2년간 시범동 주민자치회의 시행착오가 도출되었습니다. 도출된 내용을 잘 갈무리하고, 녹여내어 용산구 특성이 잘 반영된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도출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교육활동 2021.03.08

용산구마을자치센터 비전워크숍 및 계획수립 연구용역 성료

연구소는 용산구마을자치센터에서 발전방안을 위한 비전수립 연구용역을 의뢰받고, 3개월간에 걸쳐 환경분석, 심층면접, 진단 및 비전도출 워크숍을 통해 비전전략을 새롭게 정렬하였습니다. 용산구마을자치센터는 마을공동체와 주민자치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갈등을 노정해오면서 1차적으로 마을공동체와 주민자치를 유기적으로 통합하는 비전을 수립하면서 언어와 방향성을 통일해야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다는 인식을 하게 되었습니다. 행정에서 제시하는 계획을 객관적으로 살펴보고, 현장의 이해관계자들의 경험과 생각들을 엮어 새로운 비전전략을 모색하였습니다. 아무쪼록 용산구의 다양성과 젊은 역동이 마을곳곳에 투영되어 활기찬 지역을 만드는 지렛대로서 용산구마을자치센터를 기대합니다.

교육활동 2020.12.20

용산구마을자치센터 계획수립을 위한 진단워크숍

용산구마을자치센터에서 3개년 계획수립을 위한 용역을 시민교육콘텐츠연구소와 계약하였습니다. 지금까지 활동내용에 대한 내외부 환경분석, 민, 관, 주민자치회, 실무자들에 대한 집단인터뷰, 그리고 진단 및 비전워크숍의 방법을 통해 이해관계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함께 만들어가는 비전, 목표, 전략, 계획을 수립하려고 합니다. 그 첫번째 시간으로 8월21일 금요일에 마을활동가, 동자치지원관, 마을센터 실무자 13명이 모여서 성과, 문제점, 발전방안, 마을공동체와 주민자치회 협력방안, 행정과의 관계 등을 논의하고, 발표하여 생각을 모아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과정을 통해 용산구마을공동체와 주민자치회를 활성화하는 용산구마을자치센터가 구심력과 팀워크를 마련하여, 안정적인 활동토대를 구축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

교육활동 2020.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