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교육콘텐츠연구소

사무실 번호 : 070-4898-2779 / 대표메일 : streamwk@gmail.com

교육활동 681

[김동엽 전문위원] 인천동구마을지원센터 마을활동가 양성교육 심화과정

10월 20일 오전 10시~12시. 인천동구마을지원센터 마을활동가 양성교육 상반기 교육과정 이수자 및 마을활동가를 대상으로, 심화과정이 진행되었습니다. 갈등관리를 위한 의사소통 이해와 공감 경청 실습 내용-갈등이해와 갈등관리-의사소통 이해 -공감 경청 실습의 주제로 강의를 진행하였습니다. 10월 25일에는 나 말하기 이해와 갈등 명료화 실습 내용-나 말하기 이해와 사례실습 -바꾸어 말하기와 요약하기 실습, 좋은 질문 -갈등 조정 이해(갈등현장 갈등조정 역할극)에 대해 이야기하였습니다. 공감 경청과 나 말하기 실습, 역할극을 해보면서 참여자 학습 위주의 워크숍으로 진행하였고, 매우 반응이 좋았습니다. 참가자들의 소감으로 공동체 활동만이 아니라 가정과 이러저러한 모임과 조직에서 활동하면서 경험한 갈등에 대해..

교육활동 2022.12.16

[김지혜 전문위원] 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 Disease X 모의훈련 테이블 퍼실리테이터(영어진행)

해외 장차관급 인사들의 모의 훈련인 미지의 질병 Disease X 에 대한 #가상시나리오 기반 토론의 테이블 퍼실리테이터로 참여하였습니다. ​ 시작 전 저의 첫번째 고민은 고위급 정부 인사들을 어떻게 부를까(address) 의 고민이었습니다. 그들과 대면하며 통역 할 때 Your Excellency라고 부르지만 모두가 your excellency 인 상태에서 그들을 어떻게 불러야 하나 고민이 되었습니다. ​ main facilitator 에게 질문하였더니 국가의 Representative로 하면 될 것 같다고 하셨습니다. 근데 막상 토론이 시작하자 모두가 고위급인 인사들 간의 토론에서는 서로 간에는 격없이 편하게 You 로 막 불러도 되는 분위기였습니다. ^ ^ 그냥 you와 your country 로 ..

교육활동 2022.12.16

[최연희 전문위원] 경남 양산시, 함안군 자원봉사캠프지기 마을아카이브 교육

경남자원봉사센터가 도 내 양산시 소주동과 하북면, 함안군 칠원읍의 자원봉사캠프지기들을 대상으로 주관한 경남지역 자원봉사캠프 컨설팅에서 10월 4일과, 11일 2회에 걸쳐 마을기록을 통한 우리 마을 의제 발굴 강의를 진행했습니다. 사례를 통해 지역자원조사의 의미와 중요성 및 방법과 마을기록의 이해와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각 마을별 마을자원 리서치를 바탕으로 지역자원조사 계획을 수립하는 워크숍을 운영하였습니다.

교육활동 2022.12.13

[강정모 소장] 경기도자원봉사센터 교육운영 실무영상 콘텐츠 제작

22년 상반기 경기도자원봉사센터와 시민교육콘텐츠연구소 그리고 사회복지교육전문기관인 휴먼임팩트는 함께 협력하여 자원봉사 관리자들을 위한 교육운영 역량 향상을 위한 영상교육 콘텐츠를 제작하였습니다. 특별히 이번 과정은 프로젝트 워킹그룹을 형성하여 경기도자원봉사센터 관리자와 화성시, 오산시 팀장님과 함께 현장의 목소리를 최대한 담아내려고 노력하였습니다. 표준형을 제시하기 보다는 현장 응용력을 제고하기 위한 콘텐츠를 제작하였으며, 현장에서 교육실무를 하다 보면 놓치게 되는 소소하지만 결정적인 노하우를 깨알같이 담아내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이 과정은 경기도자원봉사 교육플랫폼에 탑재되어 누구나 로그인만 하면 상시적으로 들을 수 있도록 제공됩니다. https://www.eduggvc.or.kr/main/index.js..

교육활동 2022.12.13

[김동엽 전문위원] 성남시 공익활동 입문교육

9월 20일 오후 2시부터 4시. 경기도 성남시 공익활동지원센터에서 시민활동(공익활동)을 하고 있거나 하고자 하는 시민 활동가 대상의 공익활동 입문교육을 진행하였습니다. 주제는 이었습니다. '공익활동의 주체는 누구인가?' 곧 역량이 강화된 자발적 참여하는 시민입니다. '공익활동의 방향성'은 그러한 시민들이 공익활동의 확산을 가져오도록, 공익활동가는 시민참여와 지속가능한 민주주의를 확산하는 사회적 자본의 촉진자입니다. 이를 위해 함께 하기 위한 다양한 공익활동의 주제를 발굴하여야 하는데 거시적인 주제도 좋으나 일상의 삶에서 요구되는 필요를 찾고 누리는 작은 권리를 시민참여를 통해 만들어가는 과정의 주제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작지만 꼭 필요한 우리 사회의 가치와 부합된 활동을 많이 질문하고 구체화하고 만들어..

교육활동 2022.12.07

[홍정우 전문위원] 안성시 자원봉사센터 2022 V-아카데미 3기 워크숍

22년 10월 18일 안성시자원봉사센터 교육장에서 자원봉사자 20여분을 워크숍을 진행했습니다. 요청받은 주제는 행복. 그래서 주제를 ‘나와 이웃, 공동체의 행복 만들기’로 잡았습니다. 행복은 동사로 표현할 때 더 보기 좋고, 결과도 좋은 것 같습니다. 주어진 시간은 2시간. 첫 번째 시간은 행복을 만드는 대화법에 대해 안내하고 실습도 했습니다. 3단계 자기표현법을 소개하고, 자원봉사에 맞춰 표현 연습도 했습니다. 두 번째 시간에는 그림책을 이용한 대화를 진행했습니다. 그림책은 핑! 참 좋은 책입니다. 나와 이웃을 위한 행동의 시작은 나의 몫. 그 반응은 상대의 몫이라는 단순한 진리의 힘을 보여줍니다. 책을 함께 읽고, 돌아가며 감상을 나눕니다. 그리고 누구를 위하여 핑을 시작할지 떠올려봅니다. 바로 그 ..

교육활동 2022.12.07

[최연희 전문위원] 부산시 북구 주민자치회 임원 실무 역량강화 교육

부산시 북구 주민자치회 컨설팅 교육 중 주민자치회 간사 및 임원 실무 역량강화 교육을 9월 18일 4시간에 걸쳐 진행했습니다. 동별 주민자치회 회장, 부회장, 분과위원장, 간사, 사무장이 참석해서 회의자료와 공문 등 문서 생산과 관리, 분과 운영 지원, 회계 관리, 홍보 방법 등 주민자치회 운영에 필요한 실무 방법을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참석한 위원들께서 주민자치회 자립과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한 예산의 확보, 자치위원들의 자발성을 확대하기 위한 역할 분담과 역량 강화의 다양한 방안에 대해 강의와 질의응답을 통해 고민을 해소할 수 있는 중요한 자리였습니다.

교육활동 2022.11.28

[강정모 소장] 경상북도 교육공무원 승진자 토론 역량강화 워크숍

경상북도 교육공무원 승진자들을 위한 토론역량 강화 워크숍이 22년 6월에 2차례에 걸쳐 실시되었습니다. 구미에 있는 경북교육공무원연수원에서 1, 2그룹으로 나누어 실시되었습니다. 특별히 한국오픈스페이스연구소의 홍정우 대표와 함께 팀티칭으로 실시하여 더욱 재미와 시너지가 나왔던 시간이었습니다. 승진자들을 대상으로 경북지역 학교내 이슈를 토론으로 다루다 보니 참여자들의 몰입도가 높았습니다. 다수의 교사 및 공무원을 대상으로한 교육에 참여하는 분들의 유형이 휴식형 또는 사교형일 가능성이 많아 교육을 운영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번 워크숍은 학습자형들이 대다수라서 역동적인 시간이었습니다. 아무쪼록 승진하시는 경북교육공무원들이 이번 경험을 통해 민주주의 기술을 교내에 도입하여 효능감 있는 민주주의를 구현하는 역..

교육활동 2022.11.28

[진선임 전문위원] 광명시 2023년 주민참여예산사업제안 컨설팅

지난 5월 24일(화)에 광명시 주민참여예산위원회 경제문화분과의 주민참여예산사업 제안을 위해 위원님들을 만나 컨설팅을 진행하였습니다. 아젠다 유목화와 구체적 사업제안 작성을 위한 코칭 질문 컨설팅과 제안서 작성팁을 공유해 드렸습니다. 외부환경요소를 파악하고 내면욕구의 잠재적 셀프솔루션을 발견하도록 질문을 통한 코칭과 MEMGROWV 코칭 모델을 기반으로 상황적 요인을 해결위해 2WHO 제안 로드맵을 안내해 드렸습니다.

교육활동 2022.11.24

[김은영 전문위원] 하안종합사회복지관 직원워크숍 “통통한 힐링캠프”

지난 10월 28일(금) 하안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30명을 대상으로 직원 워크숍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라는 주제로, 최근 스트레스 이야기, 나만의 스트레스 해결방법, 나에게 힘이 되는 말은 무엇인가? 내가 힐링 할 수 있는 음악(노래방 18번)에 대해 이야기하였습니다. 사회복지 특성상 감정노동으로 인한 자기관리방법과 스트레스 관리에 관해 이야기를 해보고, 나만의 스트레스 해소법을 공유하여 참여자들(동료)로 부터의 위로와 힐링할 수 있는 음악(통키타음악,참여자 노래 등)의 장을 펼쳤습니다. 평소 겪을 수밖에 없는 사람으로부터 오는 어려움과 상처, 그리고 인간관계 및 업무로부터 오는 스트레스를 다 알고 있기에 가장 가까운 내 옆의 동료들로부터의 위로가 가장 인상 깊었으며 모두가 적극적으로 참여한 시간이었습..

교육활동 2022.11.24